전체 글(11)
-
왜 교통체증이 발생할까!!
운전자들이 아무런 비용도 지불하지 않고 도로를 이용하고 있다는 말은 아주 정당한 표현이 아니다. 영국에서는 해마다 꽤 많은 ‘자동차세’를 지불하지 않으면 차를 몰고 다니거나 심지어 길가에 차를 세워둘 수도 없다. 미국의 많은 주에서도 비슷한 세금이 있다. 가스와 디젤 연료에는 사람들이 크게 불평할 만큼 높은 세금이 부과되고 있다. 2000년 가을 영국에서는 높은 자동차 연료비에 반발하는 사람들이 기름 운송을 방해하여 자동차 연료 공급이 중단되는 일이 벌어지기도 했다. 영국의 운전자들은 매년 자동차나 자동차 연료에 붙는 세금으로 200억 파운드를 내고 있으며, 미국에서는 1천억 달러에 달한다. 따라서 “운전자들이 충분히 비용을 치르고 있는가?” 라는 질문은 잘못된 것이다. 이보다는 “운전자들이 올바른 비용..
15:20:05 -
돈의 얼굴은!!!
돈 없이 살아갈 수 없는 세상이다.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돈을 외면하고 살아갈 수 없다. 인간은 돈의 올가미를 벗어날 수 없게 되어 있다. 끊임없이 인간을 괴롭혀 온 돈, 그래서 돈은 모든 악의 뿌리라고 말한다. “아! 돈, 돈, 이 돈 때문에 얼마나 많은 슬픈 일이 일어나고 있는가?” 톨스토이의 한탄이다. 돈으로 인한 슬픔, 분노, 절망이 먹구름처럼 인간 세상을 어둡게 하고 있다. 세상사 모두 돈으로 귀결되어 돈에 얽힌 사연 끝이 없다. 돈에는 무슨 단어를 갖다 붙여도 말이 된다. 돈과 예술, 돈과 문학, 돈과 사랑, 돈과 결혼, 돈과 여성, 돈과 섹스, 돈과 CEO, 돈과 범죄 등 돈에 얽힌 갖가지 주제를 알아보자. 돈과 예술 우리는 예술을 고상하게 여긴다. 그래서 돈에 얽매인 예술가는 경멸을 받는..
2025.10.28 -
대한민국과 중남미에서 환율 폭동이 잦은 이유?
중남미에서도 1970∼1980년대에 하이퍼인플레이션이 벌어졌다. 중남미 각국의 경우는 식민지 시대부터 이미 양극화된 사회였다. 중남미는 식민지 시대 이래로 가벌(家閥) 집단이 존재한다. 식민지 당시의 스페인, 포르투갈 귀족 후손들이 모체가 되어 가벌 집단을 형성해서 오늘날까지 내려오고 있다. 브라질의 경우를 보면 0.05%의 최상류층이 전국 토지의 대부분을 소유하고 있을 정도이다. 그 외 아르헨티나, 멕시코, 칠레 등 여타 국가들 역시 상황이 이와 유사하다. 20세기 들어 중남미 각국 정부 역시 공업화 정책을 추진했지만, 대기업주의 자리 역시 이들 가벌집단이 차지했다. 그 결과 19세기까지 토지 소유 불균형에 따른 빈부격차가 20세기 들어 일정 정도의 산업화를 거치는 동안에도 더 심화하기만 했다. 이처럼..
2025.10.28 -
돈 버는 비결
오랫동안 각종 자료와 서적 등을 통해 돈을 버는 방법을 탐구해 온 결과 돈을 버는 비결을 적어본다. 1. 품질 대비 가격(가성비) : 무엇이든 품질에 비해 가격이 싸야 한다. 2. 차별화 : 차별화는 약간의 변화인데 그 효과는 엄청나다. 3. 직원 우대 : 직원을 최우선으로 대우해야 한다. 4. 끈기 : 실패에 좌절하지 않고 포기하지 않는다. 1) 품질 대비 가격 : 가성비 미국 역사상 가장 위대한 기업가로 추앙받는 헨리 포드의 경영이념은 ‘낮은 이용, 대량생산, 싼 가격, 높은 임금’이었다. 포드는 1908년 825달러였던 모델 티(T)를 1925년에는 260달러까지 낮춰, 1927년까지 총 1,650만 대를 팔았다. 당시의 근로 기준은 1일 9∼10시간 노동, 산업 평균 일당은 1.80∼2.50 달..
2025.10.27 -
돈을 다루는 네 가지 능력
경제활동을 하는 모든 사람은 돈에 있어 네 가지 능력에 따라 자산이 늘어난다. 이 중의 하나만 갖고 있는 사람도 있고, 넷을 모두 갖고 있는 사람도 있다. 이 능력은 돈을 버는 능력, 모으는 능력, 유지하는 능력, 쓰는 능력으로 나뉜다. 돈을 버는 능력은 가진 사람을 부자라 부르지만 부자가 부를 유지하려면 이 네 가지 능력을 모두 갖추고 있어야 한다. 이 능력 중에서 하나라도 있으면 부자가 될 수 있다. 그러나 부를 계속 유지할 수 없다. 그리고 이 능력은 각기 다른 능력이다. 그러니 각기 다른 방식으로 배워야 한다. 돈을 버는 능력은 각진 사람들은 우리 눈에 쉽게 보인다. 이 능력은 밖으로 드러나 보이기 때문이다. 이 능력을 가진 사람은 대부분 진취적이고 사업에 능통하며 세일즐 잘하는 유능한 사람이다..
2025.10.27 -
인플레이션의 거품이 꺼지면 금융위기가 온다!
은행은 대출을 통해 돈의 양을 늘리고 중앙은행은 또 이런저런 이유로 돈을 찍어낸다. 그래도 정말 아무 일 없이 세상은 잘 돌아갈까? 시중에 돈이 많이 도니까 돈을 많이 쓸 수 있어서 좋은 거 아닌가? 미국 하버드대 경제학과 제프리 마이론 교수의 이야기를 들어보자 “정부가 지폐의 수를 늘리고 돈의 양이 늘어나면 각각의 지폐는 가치가 낮아집니다. 각 지폐 한 장이 덜 희소해지기 때문이죠, 같은 돈으로 살 수 있는 것이 적어지고 인플레이션이 오게 됩니다. 1달러당 살 수 있는 상품과 서비스가 줄어드는 것이죠. 그래서 정부가 돈을 풀면, 인플레이션이 옵니다.” 돈의 양이 늘어나면 물가 상승의 원인이 되고, 인플레이션이 따라온다. 자본주의 체제하에서 ‘은행’이 있고 ‘중앙은행’이 있는 한, 인플레이션이란 결코 피..
2025.10.26